지구의 공전속도로 태양의 질량 계산
블랙홀이나 동반성 주위를 도는 별이나 행성이 있으면, 별이 동반성 주변을 도는 속도를 추론하고
그 속도를 이용하여 동반성의 질량을 추론할 수 있다. 만약 그 동반성이 매우 커다란 질량을 가지고
있고 그것에서 나오는 어떤 빛도 볼 수가 없다면, 동반성은 블랙홀일 것이다.
이것은 유명한 블랙홀탐구자의 제안이었다.
그것이 궁금하던 차에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고 있고 우리는 그 공전속도를 너무 잘 알고 있다.
그리고 뉴턴의 만유인력 공식을 이용하여 태양의 질량을, 달의 공전속도를 통해 지구의 질량을
계산해 보았다. 사실 이러한 계산이 물리학이나 천문학에서 제일 먼저 하는 일이 아닌가 생각한다.
지금은 초대형첨단망원경으로 태양이나 별의 크기를 알아내고 다시 그 크기를 분석하여 성분을 알고
밀도를 추론하여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 그것을 공전속도를 통한 질량과 비교하면 그 추론이 얼마나
잘 맞는가를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우주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주와 그 크기 (0) | 2020.12.24 |
---|---|
태양계의 별은 몇 개? (0) | 2020.09.30 |
태양계의 소행성대, 카이퍼벨트, 오르트구름 (0) | 2020.09.27 |
태양계 행성의 체적 및 질량 (0) | 2020.09.27 |
태양(Sun)과 블랙홀(Blackhole) 그리고 우주(Universe) (0) | 2019.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