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말 팔은(八隱)

 

 

   25년前 증조외할버지께서 제가 고려말 삼은을 얘기하니 그럼 너 육은이 뭔지 아느냐     

   하시며 하신 말이 퍼뜩 떠올라, 기억을 되살리며 찾아 보다가 고려말 팔은(여덟 분의    

   학자)또는 구은을 알게 되었습니다. 호의 끝 자리를 은(隱)  참 멋있습니다.     

   증조외할아버지 돌아가신지 23년이 되었습니다. 좀 된 얘기지요 ~~~

 

   목은(牧隱) 이   색(1328년 충숙왕15년 ~ 1396년 태조5년) 정치인이자 성리학자                               

        포은 정몽주와 더불어 당대 최고의 석학이자 정치가이고 충신

 

   포은(圃隱) 정몽주(1337년 충숙왕 복위6년 ~ 1392년 공양왕4년)                               

        문인이자 사상가, 정치인으로 단심가로 유명. 이방원에 의해                                

        개성 선죽교에서 피살

 

   야은(冶隱) 길   재(1353년 ~ 1419년) 성리학자이며 이색 정몽주의 제자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데없네                           

                                어즈버 태평년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도은(陶隱) 이숭인(1347년 ~ 1392년) : 도은을 삼은에 넣는 경우도 있음

                      1392년 이방원이 정몽주 살해 후 유배되었고 정도전에 의해 죽음

 

      참고로 제 학창시절에는 삼은이라하여 많이 배웠는데, 사실 큰 차이가 없습니다.

      그런데 요즘 사은이라고 들었습니다. 굳이 그러면 목은 포은 야은 도은 이렇겠군요!!

    

      송은(松隱) 박   익(1332년 ~ 1398년) : 밀성 박씨 박천익으로 불리움

     성은(成隱) 김대윤

     동은(桐隱) 이재홍

     휴은(休隱) 이석주

     만은(晩隱) 홍   재       여기까지 아홉 분을 구은(九隱)이라고도 함

 

       여기에서 후일 서신에서 고려말 팔은(八隱)하면 도은 이숭인 선생을 제외하고

      [포은 목은 송은 야은 동은 만은 휴은 성은] 이렇게 여덟 분이 언급됩니다.

 

      농은(農隱) 조원길(1345년 문과 급제, 1392년 출사치 않음)    

      퇴은(退隱) 이   억(공민왕 때 문과 급제한 무신 1392년 역시 출사치 않음)

     수은(樹隱) 김충한 본관은 경주, 대제학 김인경의 고손자, 고려말 전북 남원으로 유배

      농은(農隱) 민안부 본관은 여흥, 자는 영숙, 농은유집을 남김

 

      육은(六隱), 즉 여섯 명의 선비는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 도은 이숭인, 야은 길재,

                            농은 민안부, 수은 김충한이라고 합니다.

                      

      초은(樵隱) 이인복(1308년 ~ 1374년) : 조선개국 前 별세 不事二君과는 연관 없음    

     고은(皐隱) 안   지(1377년 ~ 1464년) : 조선 문신 역시 연관 없음    

 

     어느 분이 삼은, 육은, 팔은, 혹은 구은이고 아니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당대 학문을     

     논한 륭한 학자이자 선비였으며 특히 일편단심 不事二君의 삶에 존경을 표합니다.    

     호의 끝자리를 隱으로 하는 분들은 많았고 일종의 연고 파벌이 있었다고 판단되므로     

     굳이 이렇게 삼은, 육은, 팔은, 구은 등등 정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참고) 막을 두 자에 문 문을 써 문을 닫고 나오지 않고 세상과 단절했다는 뜻으로              

    원래 있던 지명이 아니고 두문동 72현들이 문을 닫고 세상과 단절한 그 마을을            

    형성한 이후에 생겼다고 합니다.

 

       華海師全(화해사전)에 기록된 칠십이인

              
         ▶ 禹玄寶(우현보),  曺義生(조의생),  林先味(임선미),  高天祥(고천상)
             田貴生(전귀생),  李崇仁(이숭인),  李孟藝(이맹예),  柳  洵(유  순)
             田祖生(전조생),  趙承肅(조승숙),  蔡貴河(채귀하),  徐  輔(서  보)
             金忠漢(김충한),  邊  肅(변  숙),  朴  諶(박  심),  申    案(신  안)
             朴  寧(박  영),  高天佑(고천우),  徐仲輔(서중보),  趙安卿(조안경)
             李  穡(이  색),  李  裕(이  유),  趙    堅(조  견),  許  錦(허  금)
             李守仁(이수인),  鄭  熙(정  희),  李釋之(이석지),  吉  在(길  재)
             元天錫(원천석),  金  澍(김  주),  崔  瀁(최  양),  全五倫(전오륜)
             趙  洪(조  홍),  金自粹(김자수),  李思敬(이사경),  李遂生(이수생)
             金若時(김약시),  南乙珍(남을진),  李  行(이  행),  李  淪(이  륜)
             李養中(이양중),  徐  甄(서  견),  林  卓(임  탁),  金六鹿(김육록)
             邊貴壽(변귀수),  安從約(안종약),  金  俊(김  준),  尹  陸(윤  육)
             朴  沈(박  침),  裵尙志(배상지),  具  鴻(구  홍),  李唯仁(이유인)
             朴門壽(박문수),  成思齋(성사재),  閔  普(민  보),  林   (임  등)
             車元夫(차원부),  崔文漢(최문한),  申  釋(신  석),  申自嶽(신자악)
             金  瑋(김  위),  閔安富(민안부),  申德麟(신덕린),  申包翅(신포시)
             朴宜中(박의중),  李  晨(이  신),    朴太始(박태시),  李  瓊(이  경)
             孟好性(맹호성),  吉仁迪(길인적),  申  彛(신  이),  潘  모(반  모)

 

           이 화해사전에 대한 진위여부도 여기서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니 

           정황만 참조하십시요.

 

     사실, 시대의 지성이란 아니 지식인이란 의미가 없습니다.     

     가장 똑똑하고 현명한 사람을 얘기하는데, 이들이 편하게 사는 법을 몰랐을 리 없지요.     

     고려말에는 개국하는 조선에 협력하면 크게 문제없었지요.      

     그런데, 조선말 일제강점기 때도 보면 많은 소위 지식인들이 일제에 협조했지요.     

     그래야만 새로운 것을 배우고 등용이 되고 무엇보다도 편하게 그래도 안전하게    

     살 수 있었으니까요.  정말 시대의 양심은 많은 각성을 필요로 합니다.

'교육윤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무에 새겨진 해병 투혼  (0) 2011.11.23
포용력과 용서  (0) 2011.11.12
도전하는 자가 세상의 주인  (0) 2011.10.31
밀의사(蜜蟻絲)  (0) 2011.10.28
마루타(통나무)  (0) 2011.10.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