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퍼트 주한미국대사 피습을 보면서

 

 

 

 

    위 사건을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이성적 논리적으로 본다면, 그간 역사와 교육을 올바르게 받지않은

    맹목적적 민족주의와 한미동맹 예찬론자들에게는 거의 멘붕에 가까운 사건임에 틀림없다. 그러니까

    이 사건을 무마할 유일한 길은 종북, 좌파 이런 식으로 처결하는 색깔론 밖에 없는 것이다.

 

    이것은 변화된 한반도 정세에 대한 냉철한 분석과 개선 없이, 아니 분석은 했어도 그 준비와 실천 없는

    (구) 유물 답습이 가져온 일이 아닌가 그런 판단도 든다. 여야 지도자, 대통령도 위문 가는 현실을 볼 때

    과연 미국의 힘은 대단한 것이고 조선시대 명청에 사대의 예를 올린 역사가 떠오른다.

 

    과거 팀스피리트 훈련도 뛰었지만 물론 병사로서 뭘 알고 했겠나 마는 키리졸브 독수리 훈련 틀림없이

    우리를 지키기 위한 연습은 분명하다. 그러나 지금 이 싯점에는 매년 비용을 여기에 쏟아 붓는 것보다는

    경제를 살리고 서민을 토닥이고 우리의 미래, 어린이에게 투자 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오늘 또

    4세 남아가 어린이집 차에 치어 노상에서 7분간 방치된 상태로 사망한 일이 발생했다.

 

    너무 일방으로 군사강국 미국의 논리만 내세우면 득이 없다. 향후 30년을 내다본 자주국방 외교도

    필요한 싯점이고 또 주변국의 공감도 필요한 사항이다. 당사자인 북한 그리고 강대국 중국과 러시아는?  

    물론 관점과 생각에 따라 의견을 달리할 수 있지만, 이번 사건은 이 문제를 충분히 내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한미군사동맹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시대가 도래한다. 그것의 하나가 뜨거운 감자였던

    한미전시작전권인데 결국 연기됐다. 아직은 미군이 물러간 에 우리 스스로를 지킬 힘이 약하다는 것은

    정치가 뿐만아니라 온국민이 해결해야 될 과제이다. 우리의 행복한 미래는 우리의 손에 달려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더 노력하여 자주국방 그리고 남북통일을 이뤄 세계일류국가로의 발전을 염원한다.

 

    대통령이나 여야지도자가 다쳐서 입원한 리퍼트 미국대사를 병문안 가는 것 보다 4세남아가

   통학차에 치어 7분간이나 방치되어 사망한 일에 더 애도를 표하고 포커스가 맞춰지는 때가

   오길 간절히 바랄 뿐이다. 이것이 우리의 미래이고 진정한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 입장에서 보더라도 미국과의 동맹은 우리에게 중요한 것이고 그 대사에게 친밀감을

   표현하는 것은 따뜻한 것이다. 아시아 공동번영 더 나아가 세계평화와 번영을 표방하는 것은

   백범(白凡) 김구(金九) 선생의 숭고한 정신과 같다고 하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