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21 자성명 위지성(自誠明 謂之性)

 

 

       성(誠)은 오달도 다섯가지 인륜지사, 삼달덕 知仁勇을 행하는 그 하나를

        말한다. 성(誠)을 지극히 하면 결국 명(明)이 된다 함은 명(明)은 인류문명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지극한 성(誠)을 통해 결국 인간은 참되고 착하고

        아름다운 문명을 만드는 것을 그 본성(本性) 즉 하늘의 명으로 보았다.

 

        그러면 반대로 인류 문명에서 도로 성(誠)으로 회귀하는 것을 일컬어 교(敎)라

        한다 함은 무엇을 의미할까? 인간의 숭고한 정신으로부터 풍요한 물질 창조를

        본성으로 보고 다시 그 물질로부터 숭고한 정신으로의 회귀를 일컬어 교(敎)

        즉 가르침이라 한다. 그런데 이 가르침은 오늘날 보편적인 교육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다시금 숭고한 성(誠) 즉 자연으로의 회귀를 뜻한다.

 

        그리고 정신과 물질은 둘이 아닌 하나이다. 성은 즉 명이고 명은 성인 것이다.

        여기서 우리 눈에 보이지만 허상이라는 현상과 보이지 않지만 이상적인 본체를

        떠올릴 수도 있고 또는 천지인 일심동체로 생각할 수도 있다. 어쨌든 그 중심엔

        우리가 있고 우리의 마음에서 모든 것이 이뤄지고 완성되는 것이다.

 

                                             

 

     ()으로부터 명(明)으로 감을 일컬어 성()이라 하고

     명(明)으로부터 성()으로 감을 일컬어 교()라 한다.

     성()은 즉 명()이고  명()은 즉 성()이다.

 

 

  自誠明 謂之性 自明誠 謂之敎

 

  誠則明矣 明則誠矣

 

 

 

    다음과 같이 해석한 책도 있는데, 이것은 인간의 순수 본성(本性)과 성(誠)을 통한

    인류 문명의 구현 그리고 다시 순수 본성으로의 회귀  등 이러한 과정을 가르치는

    문장으로 판단되어 단순히 명(明)을 밝음으로, 성(誠)을 정성 또는 성실로만 해석함은

    그 의미가 절감된다고 생각한다.

  

     정성됨으로부터 밝아지는 것을 성()이라 하고

     밝음으로부터 정성되어짐을 교()라고 한다.

     정성되면 곧 밝아지고 밝으면 곧 정성되어진다.

 

 

 

 

 

 

 

 

 

 

 

 

 

 

 

 

 

 

 

 

 

 

 

 

 

 

 

+ Recent posts